智慧树知到答案韩国语语言学——韩汉双语教学最新答案

资源下载
下载价格15

第一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한국어 이중모음의 수는 몇 개 입니까?
选项:
A:10개
B:12개
C:11개
D:9개
答案: 【11개】

2、单选题:
자음군이 ‘ㄹ’로 시작하는 것 중 앞자음이 탈락하는 것은 무엇입니까?
选项:
A:ㄺ
B:ㄼ
C:ㄾ
D:ㄽ
答案: 【ㄺ】

3、单选题:
장애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?
选项:
A:파찰음
B:폐쇄음
C:마찰음
D:비음
答案: 【비음】

4、单选题:
다음 중실제 발음 표기가 맞는 것은 무엇입니까?
选项:
A:난로[난로]
B:칼날[칼랄]
C:권력[권녁]
D:핥는다[할튼다]
答案: 【칼날[칼랄]】

5、单选题:
다음 중 표기가 올바른 것은 무엇입니까?
选项:
A:쌍용
B:은닉
C:루각
D:남존여비
答案: 【은닉】

第二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한국어의 품사는 흔히 아홉 가지로 분류된다. 명사, 대명사, 수사, 동사, 형용사, 관형사, 부사, 감탄사, 조사가 그것이다. 이들 중 (      )를 명사 혹은 체언으로 묶고, 동사, 형용사를 동사 혹은 용언으로 묶기도 한다.
选项:
A:명사, 대명사, 수사
B:동사, 수사, 명사
C:부사, 관형사
D:형용사, 관형사, 부사
答案: 【명사, 대명사, 수사】

2、单选题:
사물이나 대상을 셀 때, 의존명사의 한 부류인 분류사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점도 한국어의 두드러진 특징들 중의 하나이다. 분류사는 원칙적으로 그 앞에  (      )을 나타내는 단어가 선행되어야 문장 속에 나타날 수 있다.
选项:
A:수량
B:사물
C:사람
D:숫자
答案: 【수량】

3、单选题:
분류사가 이처럼 발달되어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한국어에는 (      )라는 문법범주가 없다. 즉 단수, 복수의 구별이 명사나 어디에 형태적으로 반영되지 않는다.
选项:
A:시간
B:원인
C:인칭
D:수
答案: 【수】

4、单选题:
친척 중 항렬이 아래여도 (      )보다 나이가 많으면 역시 이름을 부르지 못하고 ‘조카’ 또는 ‘조카님’이라고 역시 친족명칭으로 부른다.
选项:
A:자기
B:자신
C:나
D:저
答案: 【자기】

5、单选题:
형용사는(  )에 의해 수식을 받을 수 있다.
选项:
A:주어
B:부사나 부사어
C:관형어
D:서술어
答案: 【부사나 부사어】

6、单选题:
형용사는 반드시 (  )를 취하여 사용해야 한다.
选项:
A:어근
B:어기
C:어미
D:어간
答案: 【어미】

 

第三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단일어는 (   ) 하나로 이루어져있기때문에 조어법적으로 따로언급할 만한 것이 없다.
选项:
A:형태소
B:어미
C:단어
D:모음
答案:

2、单选题:
복합어는 그속성상 (   )끼리 모여 이루어진 복합명사가 그 主宗을 이룬다. 그러나 나머지 품사에도 복합어가 활발히 나타나며, 그 구성방식도 매우 다양하다.
选项:
A:수사
B:명사
C:대명사
D:부사
答案:

3、单选题:
‘고루고루, 오래오래, 가득가득, 길이길이 ’는 (   )가 반복된 것들이다.
选项:
A:동사
B:형용사
C:명사
D:부사
答案:

4、单选题:
접미사는 (    )를 바꾸든가, 자동사를 타동사로 또는 타동사를 자동사로 바꾸는등 그 기능이 접두사에 비해 꽤 적극적임을 볼 수 있다.
选项:
A:품사
B:어미
C:단어
D:존칭
答案:

5、单选题:
자음교체에 의한 파생어의 예는 모음교체에 의한 것만큼 많지는않은 데 이들은 (     )의 교체에 의해 이루어진다.
选项:
A:양성모음:중성모음:음성모음
B:자음:모음:받침
C:평음: 경음: 격음
D:명사:대명사:수사
答案:

6、单选题:
한국어에는 모음교체와 자음교체 외에도 색채의 明暗과 濃淡을나타내는 접두사와 접미사가 다양하게 발달되어있어서, (     )의 체계가 매우 풍부하기때문이다.
选项:
A:의성의태어
B:부사어
C:파생어
D:색채어
答案:

7、单选题:
단일어는 (   ) 하나로 이루어져 있기  때문에 조어법적으로 따로  언급한 만한 것이 없다.
选项:
A:형태소
B:모음
C:단어
D:어미
答案:

8、单选题:
자음교체에 의한 파생어의 예는 모음교체에 의한 것만큼 많지는 않은데 이들은 (     )의 교체에 의해 이루어진다.
选项:
A:양성모음:중성모음:음성모음
B:평음: 경음: 격음
C:자음:모음:받침
D:명사:대명사:수사
答案:

9、单选题:
한국어에는 모음교체와 자음교체 외에도 색채의 明暗과 濃淡을  나타내는 접두사와 접미사가 다양하게 발달되어  있어서, (     )의 체계가 매우 풍부하기  때문이다.
选项:
A:파생어
B:부사어
C:색채어
D:의성의태어
答案:

第四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명사구와 명사구의 의미관계가 분명해서 그 의미관계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도 문맥에 혼란이 없을때, 그 명사구와 명사구를 직접 (      )시키는 정도의 역할을 할 뿐이다.
选项:
A:중복
B:대립
C:연결
D:병렬
答案:

2、单选题:
한국어의 속격조사 ‘의’는 기본적으로 (       )를 묶어주는 기능을 하며, 이때 ‘의’에 의해 묶인 두명사구는<수식어+피수식어>구성으로서 보다 큰명사구를 이룬다고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.
选项:
A:명사구와명사구
B:형용사구와형용사구
C:두문장
D:동사구와동사구
答案:

3、单选题:
‘한테’와 ‘더러’는 (      )에비해 그 쓰이는 범위가 제한된다. ‘한테’는  ‘에게’와 거의 같은 분포를 가지지만, 보다 구어적이고 비격식적인 말투에서 사용된다.
选项:
A:의
B:에
C:께
D:에게
答案:

4、单选题:
처격조사에 ‘서’가 결합된 ‘에서, 에게서, 한테서’가있다. ‘서’가첨가되면 ‘에서’는 처소나 출발점을, ‘에게서, 한테서’는  (      )을나타낸다.
选项:
A:활동처소
B:출발점
C:목적지
D:처소
答案:

5、判断题:
한국어의격은 ( 조사 )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, 때로는 형태론적표지 없이 ( 어순 )만으로 표시될 수도 있는 것 이다.
选项:
A:对
B:错
答案:

6、单选题:
명사구와 명사구의 의미관계가 분명해서 그 의미관계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도 문맥에 혼란이 없을  때, 그 명사구와 명사구를 직접 (      )시키는 정도의 역할을 할 뿐이다.
选项:
A:대립
B:연결
C:병렬
D:중복
答案:

7、单选题:
처격조사에 ‘서’가 결합된 ‘에서, 에게서, 한테서’가  있다. ‘서’가  첨가되면 ‘에서’는 처소나 출발점을, ‘에게서, 한테서’는  (      )을  나타낸다.
选项:
A:목적지
B:출발점
C:처소
D:활동처소
答案:

8、判断题:
한국어의 격은 (조사)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, 때로는 형태론적표지 없이 (어순)만으로 표시될 수도 있는 것 이다.
选项:
A:错
B:对
答案:

第五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격조사 ‘가’는 새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에 반해 ‘는’은 (      )를 전달하는 일을 담당함을 알 수 있다.
选项:
A:옛정보
B:미지정보
C:일반정보
D:많은정보
答案:

2、单选题:
‘야’는 대조의 ‘는’과 같은 의미를 가지되, 객관적인 문맥에서는 쓰이지 못하고, 화자가 “물론, 당연히”와 같이 (      )을 인정하는 문맥에서 쓰이는 것으로 정리된다.
选项:
A:중요성
B:당위성
C:용감성
D:생동성
答案:

3、单选题:
‘나’와 아주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조사로 ‘나마’가 있다. 다 같이 소극적이며 차선의 선택에 쓰이는 데다만 선택결과에 대하여 (      )을가지 고부정적으로 평가할 때는 ‘나’를 쓰고, 다행스럽게 생각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할 때는 ‘나마’를 쓴다.
选项:
A:생각
B:불만
C:의문
D:불행
答案:

4、判断题:
특수조사 ‘는, 도’가 ( 주격 )자리나 대격 자리에 쓰이면 ( 주격조사 )와 대격조사가 반드시 탈락된다.
选项:
A:对
B:错
答案:

5、判断题:
호격조사는 ( 해라체 )를 쓸 수 있는 청자에게만 자유롭게 쓸수있다. ( 반말체 )를 쓰는사이에서도 쓸 수 있으나 그 때에는 호격조사를 빼고 이름만을 쓰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.
选项:
A:对
B:错
答案:

6、单选题:
‘나’와 아주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조사로 ‘나마’가 있다. 다 같이 소극적이며 차선의 선택에 쓰이는 데, 다만  선택결과에 대하여 (      )을  가지고  부정적으로 평가할 때는 ‘나’를 쓰고, 다행스럽게 생각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할 때는 ‘나마’를 쓴다.
选项:
A:불행
B:불만
C:의문
D:생각
答案:

第六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‘-었었-’이 나타내는 상황은 단순한 과거가 아니고, (    )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상황이다.
选项:
A:상황
B:중단
C:상황단절
D:단절
答案:

2、单选题:
그런데 서술어가 ‘춥다, 무섭다, 기쁘다, 좋다, 싫다, 맵다, 덥다’따위와 같이 화자의 느낌을 나타내는 경우에 오히려 화자가 (      )가 될 때만 ‘-더-’를 쓸 수 있다. 이런 느낌은 제3자가 밖에서 관찰 할 수 없는 것이기때문이다.
选项:
A:목적어
B:부사어
C:주어
D:서술어
答案:

3、单选题:
약속문, 감탄문, 허락문등을 더 설정하는 수도 흔히 있다. 그러나 이들 어미는 (       )에만 쓰일 뿐 나머지에서는 일반어미로 바뀌므로 이런 종류의 문장은 각각평서문과 명령문의 특수한 용법이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.
选项:
A:해라체
B:합쇼체
C:하게체
D:해요체
答案:

4、单选题:
문말어미는 여기서 설명한 것들외에도 다채롭게 발달되어 있는데, 그것은 특히 문말어미가(       )을 담고 있기때문이다.
选项:
A:주체경어법
B:객체경어법
C:상대경어법
D:경어법
答案:

5、单选题:
접속은 둘이상의 문장이 독립적이 고대등 한자격으로 연결되는등 위접속과,접속되는 문장사이에인과 관계라 든지 조건관계와같은 의미상의(       ) 관계가 있는 종속접속이 있다.
选项:
A:종속
B:연결
C:대등
D:인과
答案:

6、单选题:
약속문, 감탄문, 허락문  등을 더 설정하는 수도 흔히 있다. 그러나 이들 어미는 (       )에만 쓰일 뿐 나머지에서는 일반어미로 바뀌므로 이런 종류의 문장은 각각  평서문과 명령문의 특수한 용법이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.
选项:
A:해요체
B:하게체
C:합쇼체
D:해라체
答案:

7、单选题:
문말어미는 여기서 설명한 것들  외에도 다채롭게 발달되어 있는데, 그것은 특히 가지고  부정적으로 담고 있기  때문이다.
选项:
A:경어법
B:주체경어법
C:객체경어법
D:상대경어법
答案:

8、单选题:
접속은 둘 이상의 문장이 독립적이고 대등한 자격으로 연결되는 등위접속과 접속되는 문장 사이에 인과관계라든지 조건관계와 같은 의미상의 (     ) 관계가 있는 종속접속이 있다.
选项:
A:연결
B:종속
C:인과
D:대등
答案:

第七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동사의 현재 관형화어미는 ‘-는’이고, 형용사의 현재관형화 어미는 ‘-은’이다. 또한 형용사에서는 (     )과 과거형이 ‘-은’과 ‘-던’으로 하나씩 대응되어 나타나는데 비해, 동사에서는 과거를 나타내는 어미가 ‘-은’과 ‘-던’의 두가지인점이 다르다.
选项:
A:서술형
B:현재형
C:과거형
D:미래형
答案:

2、单选题:
‘-을’의용법으로서 추측이나 의지, 혹은 (      )의의미가 두드러지지 않는경우가 있는데, 전통적으로 한자의 훈과음을 연결시킬때 사용해온 ‘-을’의 경우가 그러하다. 예컨대, ‘검을현(玄), 넓을홍(洪)’ 등에서의 ‘-을’은 시제나 서법에 대하여 중립적이다.
选项:
A:수
B:시제
C:존칭
D:미래
答案:

3、单选题:
한국어는 부사가 동사에 앞서며, 관계절, 소유격, 관형사, 지시어가명사에 앞선다. 또 본동사가 (      )에 앞서고, 명사가 조사에 앞서는 전형적인 SOV 언어이다.
选项:
A:동사
B:본동사
C:조동사
D:타동사
答案:

4、单选题:
그러나 한국어에서 격조사는 자주 생략되며, 그때는 (     )이 어순에 의해 표시된다. 격조사가 없을 경우, NP-NP-VP 구성은 주어-목적어-동사로 해석된다.
选项:
A:어순
B:문법
C:문법적관계
D:격
答案:

5、单选题:
한국어의 기본어순은 주로 각명 사구의 통사적 역할에 의해 결정되지만, 기능적, 의미적요인도 어순에 영향을 미친다. 그 중에서도 (    )가문두로 도출되는 것에 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다.
选项:
A:명사
B:주어
C:대주어
D:화제
答案:

第八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통사적으로는 능동문이 불가능할 이유가 없는데도 관용적으로 피동문으로만 표현되는 이유는 피동문으로 표현됨으로 해서 (    )의 의지가 작용하지 않거나 혹은 못함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기때문이다.
选项:
A:피동주
B:피사동주
C:주어
D:사동주
答案:

2、单选题:
형용사나 자동사에서 유래하는 사동문에서는 본래 주동문의 주어가 목적어로 나타난다. 즉 형용사문과 자동사문은 (    )문이됨으로써 타동사문으로 바뀐다.
选项:
A:주동
B:사동
C:능동
D:피동
答案:

3、单选题:
동사 ‘보다, 잡다, 업다, 안다(抱), 물다, 뜯다’ 등은 피동사와 사동사의 형태가 똑같이 ‘보이다, 잡히다, 업히다, 안기다, 물리다, 뜯기다’이다. 이들이 피동사로 쓰였는지 사동사로 쓰였는지는 (      )에 의해 구별된다.
选项:
A:동사
B:문맥
C:문장
D:환경
答案:

4、单选题:
‘말-’부정은 원칙적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서만 쓰인다. 그러나 ‘-기(를) 바라다, -기(를) 기원하다, -기(를) 원하다, -기를!, -았으면!, -면 좋겠다!’와같이 화자의 희망이나 기원을 표현하는 문장에서는 (     )문으로도 가능하다.
选项:
A:의문
B:회의
C:서술
D:확인
答案:

5、单选题:
확인문과 부정의문 문은억양과 시제 선어말어미의 위치로 구별된다. 확인문은 문장끝이 내려가고, 부정의문 문은끝이 올라간다. 또 (     )가 부정의문문에서는 ‘아니’에 연결되는데 반해, 확인문에서는 본동사 어간에 연결된다.
选项:
A:명사
B:존칭선어말어미
C:시제선어말어미
D:부정소
答案:

6、单选题:
통사적으로는 능동문이 불가능할 이유가 없는데도 관용적으로 피동문으로만 표현되는 이유는 피동문으로 표현됨으로 해서(    )의 의지가 작용하지 않거나 혹은 못함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기  때문이다.
选项:
A:피동주
B:주어
C:피사동주
D:사동주
答案:

7、单选题:
확인문과 부정의문문은  억양과 시제 선어말어미의 위치로 구별된다. 확인문은 문장끝이 내려가고, 부정의문문은  끝이 올라간다. 또 (     )가 부정의문문에서는 ‘아니’에 연결되는데 반해, 확인문에서는 본동사 어간에 연결된다.
选项:
A:부정소
B:명사
C:시제선어말어미
D:존칭선어말어미
答案:

第九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‘님’이 직함에 붙어 경칭을 만드는 일은 (   ) 때보다 더욱 활발하다. ‘대통령’처럼 ‘님’이 결합될 수 없는 직함이 없는것은 아니나 그 것은 예외적이고 거의 모든직함은 ‘님’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.
选项:
A:평상시
B:호칭
C:친족명칭
D:친족호칭
答案:

2、判断题:
‘당신’은 부부 사이에서 상호적으로 쓰이는 대표적 대명사입니다.
选项:
A:对
B:错
答案:

3、判断题:
(‘자네’)는 대학교수가 제자들 에게 쓸 수 있다. 초등학교나 중고등학교선생님들은 제자들을 ‘너’라고 부르는것에 비해 대학교수가 자기 제자들을 (‘자네’)라고 부르는것은 그 제자들이 ‘너’라고 부르기엔나이가들어 그만큼 대우를 해주겠다는 뜻이 담겨있다.
选项:
A:对
B:错
答案:

4、单选题:
‘아니’는 ‘알다’와같은 화자의 인지를 나타내는 동사를 (      )하지못하며 ‘견디다, 참다’와 같이 화자의 의도가 포함된동사와도어울리지 못한다. 그러나 ‘못’ 은 이들 동사에서도 자연스럽다.
选项:
A:긍정
B:한정
C:수식
D:부정
答案:

5、单选题:
‘못’은 (      )이없어 서안하는 것이기때문에 의도를 나타내는 ‘-려고, -고자, -고싶다’ 구성에서는 쓰일 수 없다.
选项:
A:동력
B:기력
C:능력
D:실력
答案:

6、单选题:
‘님’이 직함에 붙어 경칭을 만드는 일은 (   ) 때보다 더욱 활발하다. ‘대통령’처럼 ‘님’이 결합될 수 없는 직함이 없는  것은 아니나 그 것은 예외적이고 거의 모든  직함은 ‘님’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.
选项:
A:친족호칭
B:평상시
C:친족명칭
D:호칭
答案:

7、判断题:
(‘자네’)는  대학교수가 제자들에게 쓸 수 있다. 초등학교나 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은 제자들을 ‘너’라고 부르는 것에 비해 대학교수가 자기  제자들을 (‘자네’)라고 부르는 것은 그 제자들이  ‘너’라고 부르기엔  나이가들어  그만큼  대우를 해 주겠다는 뜻이  담겨 있다.
选项:
A:错
B:对
答案:

8、单选题:
‘아니’는 ‘알다’와 같은 화자의 인지를 나타내는 동사를 (      )하지  못하며 ‘견디다, 참다’와 같이 화자의 의도가 포함된  동사와도  어울리지 못한다. 그러나 ‘못’ 은 이들 동사에서도 자연스럽다.
选项:
A:수식
B:긍정
C:부정
D:한정
答案:

9、单选题:
‘못’은 (      )이 없어서 안하는 것이기  때문에 의도를 나타내는 ‘–려고, –고자, –고싶다’ 구성에서는 쓰일 수 없다.
选项:
A:실력
B:기력
C:동력
D:능력
答案:

第十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존귀한 인물에 대한존대를 극대화하기위해서는 ‘-시-’의 첨가뿐만아니라 주어에 결합하는 (      ) ‘이/가’를 ‘께서’로 바꾸어야한다.
选项:
A:구격조사
B:주격조사
C:속격조사
D:목적격조사
答案:

2、单选题:
‘시’로써 존대될 정도의 인물이면 (    )적으로 주격조사로 ‘께서’를 취하는 것이 원칙이고 ‘이/가’를 취하는 것은 그 원칙에 벗어나는 것이라고 해야할지 모른다.
选项:
A:활동
B:피동
C:자동
D:주동
答案:

3、单选题:
‘있-’은 한편으로는 동사로 쓰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(    )로 쓰이는데 ‘계시-’는 동사 ‘있-’의 존대형으로, ‘있으시-’는 형용사 ‘있-’의 존대형으로 쓰이는 것이다.
选项:
A:명사
B:부사
C:동사
D:형용사
答案:

4、单选题:
‘하느님, 신령님’은 ‘-시-’를 동반한다. 이들은 이미 (     ) ‘님’을 취하고 있는점에서도 드러나지만의 인화하여 존대할대상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.
选项:
A:

접사

B:접미사
C:접두사
D:형태소
答案:

5、单选题:
비록 몇몇어휘로써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객체경어법이 엄연히 따로 존재한다는 것만은 (    )의 여지가 없다.
选项:
A:반문
B:화제
C:의문
D:문제
答案:

6、单选题:
존귀한 인물에 대한 존대를 극대화하기  위해서는 ‘–시–’의 첨가뿐만  아니라 주어에 결합하는 (      ) ‘이/가’를 ‘께서’로 바꾸어야  한다.
选项:
A:구격조사
B:주격조사
C:목적격조사
D:속격조사
答案:

7、单选题:
‘하느님, 신령님’은 ‘–시–’를 동반한다. 이들은 이미 (     ) ‘님’을 취하고 있는 점에서도 드러나지만  의인화하여 존대할 대상으로 인식되고 있기 때문일 것이다.
选项:
A:접두사
B:형태소
C:

접사

D:접미사
答案:

第十一章 单元测试

1、单选题:
남편은 아내에게 (      )를 쓰기도 하지만 반말을 쓰기도 한다. 그런데 이럴때 반말체는 써도 해라체는 도저히 쓸 수 없다.
选项:
A:하게체
B:합쇼체
C:해요체
D:하오체
答案:

2、单选题:
반말체는 청자와의 거리를 해라체보다 얼마간더두고 얼마간이라도 그 청자를 더 조심스럽게 대하는 기능이 있다. 반말체는일반 (    )를 대상으로 하는글에서도 쓰이지 않는다.
选项:
A:화자
B:대상
C:시민
D:독자
答案:

3、单选题:
하게체를 쓰는 화자의 나이는 현대로 오면서 점차 높아지는 듯하다. 예전에는 대학원생 정도의 나이이면 하게체를 쉽게 썼던 것이다. 이처럼 이 등급을 쓰는 나이가 점차 높아지는 것은 앞서 말한 이 말투의 (      )과 관련되는 것으로 풀이된다.
选项:
A:내포성
B:특수성
C:가능성
D:격식성
答案:

4、单选题:
하오체는 오늘날 그 생명력을 거의 잃어가는 상태에 있다. 이제 이 말투를쓰는 사람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(     ) 세대로 갈수록 그 수는 더욱 줄어들고 있다.
选项:
A:늙은
B:나이많은
C:젊은
D:어린
答案:

5、单选题:
해요체는 손윗사람과 손아랫사람에게 (     ) 쓰이는 전천후 말투요, 그만큼그 사용의 폭이 넓은 말투라고할 수 있다.
选项:
A:전부
B:보편적으로
C:두루
D:널리
答案:

6、单选题:
해요체는 손윗사람과 손아랫사람에게 (     ) 쓰이는 전천후 말투요, 그만큼  그  사용이 폭이 넓은 말투하고 할 수 있다.
选项:
A:보편적으로
B:널리
C:두루
D:전부
答案:

0
觉得这篇文章对你有用的话,就打赏一下支持文章作者

评论0

请先

站点公告

开放大学课程作业代写,有需要扫码加微信

显示验证码

社交账号快速登录